보호기능
|
Error code
|
원인
|
처치
|
제어전원
부족
전압보호
|
11
|
제어 전원 컨버터부의 P-N간 전압이 저하해, 규정치 이하로 되었다.
1.전원 전압이 낮다. 순간 정전 발생
2.전원 용량 부족 주전원 온시의 돌입전류로 인해, 전원전압이 저하되었다.
3.앰프 고장(회로가 고장)
|
커넥터(L1C,L2C) 및 단자대(R,T) T선 사이의 전압을 측정
1.전원 전압의 용량 업. 전원을 바꾼다.
2.전원 용량을 업한다.
3.신품 앰프로 교체한다.
|
과전압
보호
|
12
|
컨버터부의 P-N사이의 전압이 규정치 이상으로 되었다.
1.전원 전압이 허용 입력 전압 범위를 넘었다. 진상 콘덴서나, UPS(무정전 전원장치)에 의한 전압의 이상
2.회생저항의 단선
3.외장형 회생저항이 부적절해 회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다.
4.앰프 고장(회로가 고장)
|
커넥터(L1,L2,L3)의 선간의 전압을 측정
1.바른 전압을 입력한다. 진상콘덴서를 제거한다.
2.앰프의 단자 P-B사이에 외장형 저항의 저항치를 TESTER로 측정해, 무한이면 단선. 외장형 저항을 교환한다.
3.지정된 회생저항치, W수로 변경한다.
4.신품 앰프로 바꾼다.
|
주전원
부족
전압보호
|
13
|
Pr65(주전원 오프시 LV트립 선택)=1의 경우에, L1-L3사이의 Pr6D(주전원 오프 검출시간)에 설정된 시간 이상 순간 정전했다. 혹은 서보온 중에 주전원 컨버터부의 P-N사이 전압이 저하해, 규정치 이하로 되었다.
1.전원 전압이 낮다. 순간 정전 발생
2.전원용량부족 주전원 온시의 돌입전류로 인해, 전원전압이 저하했다.
3.결상 3상 입력 사양의 앰프가 단상 전원으로 운전되었다.
4.앰프고장 (회로가 고장) OTL…..
|
커넥터(L1,L2,L3)의 선간 전압을 측정
1.전원의 전압의 용량 업,전원을 바꾼다.주전원의 전자접촉기가 떨어진 원인을 제거하고, 다시 전원을 투입한다.
2.Pr6D (주전원 오프 검출 시간) 의 설정을 길게 해 본다. 전원의 각상을 정확하게 설정한다.
3.전원용량을 업한다.
4.전원의 각상을 정확하게 접속한다.
5.신품앰프로 바꾼다…………….
|
과전류
보호
|
14
|
컨버터부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를 넘었다.
1.앰프고장
2.모터선 단락
3모터선 지락
4.모터 소손
5.모터선 접촉불량
6.빈번한 서보온 오프로 의한 다이나믹 브레이크용 릴레이의 융착.
7.모터가 앰프에 적용하지 않고 있다.
8.펄스 입력과 서보온의 타이밍이 동시 내지 펄스 입력 쪽이 더빠르다.
9.다이나믹 브레이크 회로의 과열
|
1.모터선을 떼고 서보온해, 즉시 발생하면,신품의 앰프로 교환한다.
2.모터선의 접속이 단락되어 있지 않은지 커넥터의 리드선을 확인 모터선을 정확하게 접속한다.
3.모터선의 UVW의 모터 어스선간의 절연저항을 확인, 절연불량의 경우, 모터를 교환
4.모터의 각 선간 저항 밸런스를 확인하고, 언밸런스하면, 모터를 교환.
5.모터의 접속부 U,V,W의 커넥터 핀이 빠졌는지 확인하고, 느슨하거나, 빠져있으면, 확실하게 고정한다.
6.앰프를 교환한다.
7.모터 앰프 품번을 명판에서 확인하고, 앰프에 맞는 모터로 바꾼다.
8.서보온후 100ms이상 기다린 후 펄스를 입력한다.
9.서보온 오프로 운전 정지하지 않는다. 고속회전시에 다이나믹 브레이크가 동작한 경우는 3분간 정도 정지 시간을 둔다.
|
오버히트
보호
|
15
|
앰프 방열기, 파워 소자의 온도가 규정치 이상이 되었다.
1.앰프의 사용 온도가 규정치를 넘고 있다.
2.과부하
|
1.앰프의 사용 온도 및 냉각 조건을 개선한다.
2.앰프, 모터의 용량 업 가감속 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부하를 저감한다.
|
OVER-LOAD
보호
과부하
보호
|
16
|
토크 지령치가 Pr72에 설정되어 있는 과부하 레벨을 초과시, 시한 특성에 근거해 과부하 보호에 이른다.
1.부하가 무겁고, 실효 토크가 정격 토크를 초과한 상태에서, 오래 운전을 계속했다.
2.게인 조정 불량으로, 발진,헌팅 동작 모터의 진동, 이상소리 관성비 Pr20의 설정치가 이상
3.모터의 오배선, 단선
4.기계에 부딪치거나, 기계가 갑자기 무거워졌다. 기계의 뒤틀림.
5.전자 브레이크가 동작한 상태에서 운전
6.여러대를 배선중, 모터선을 다른축과 잘못 연결, 오배선되어 있다.
7.Pr72가 지나치게 낮다.
|
PANATERM의 파형 그래픽 화면에서 토크 파형이 발진, 상하로 크게 흔들리지 않는지 확인. 과부하 경고 표시 및 부하율을 PANATERM에서 확인,
1.앰프,모터의 용량 업 가감속 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부하를 저감한다.
2.게인을 재조정
3.모터선을 배선도 대로 접속한다. 케이블을 교환한다
4.기계의 뒤틀림을 제거한다. 부하를 가볍게 한다.
5.브레이크 단자의 전압을 측정.
6.모터선, 엔코더선을 각축 페어별 정확하게 배선한다.
7.Pr72를 0으로 한다 (앰프의 최대치 115%로 설정)
|
회생
과부하
보호
|
18
|
회생 에너지가 회생저항의 처리 능력을 넘었다.
1.부하관성이 커 감속중의 회생 에너지에 의해, 컨버터의 전압이 상승하여, 회생저항의 에너지 흡수 부족으로 이상 검출치까지 상승.
2.모터 회전수가 높기 때문에, 소정의 감속시간으로 회생 에너지를 전부 흡수할 수 없다.
3.외장형 저항의 동작 한계가 10%듀티로 제한되어 있다.
|
PANATERM의 모니터 화면에서 회생저항 부하율을 확인. 연속적인 회생 제동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1.운전패턴확인 (속도모니터) 회생저항 부하율 및 과회생 경고 표시를 확인. 모터 앰프 용량 업, 감속시간을 완만하게 한다. 회생저항을 외장한다.
2.회생저항 부하율 및 과회생 경고 표시를 확인.
3.Pr6c의 설정을 2로 한다.
|
엔코더
통신
이상보호
|
21
|
엔코더와 앰프의 통신이 일정 회수 끊어지고, 단선 검출 기능이 동작했다.
|
엔코더선의 결선을 접속도 대로 배선한다.
케넥터 핀의 잘못된 접속을 고친다.
엔코더 선은 X6 커넥터에 접속한다.
엔코더의 전원전압 DC5V±5%를 확보한다.
특히 엔코더선이 긴 경우에 주의해 주십시오.
모터선과 엔코더선이 함께 결속되어 있으면 분리한다.
실드를 FG에 접속한다.
|
엔코더통신
데이터이상
보호
|
23
|
엔코더로부터의 데이터가 통신 이상
주로 노이즈에 의한 데이터의 이상
엔코더 선은 연결되지만 통신 데이터가 이상.
|
위치 편차
과대 보호
|
24
|
위치 편차 펄스가 Pr70의 설정을 초과.
1. 지령에 대해 모터의 움직임이 추종되지 않음
2.Pr70의 값이 작다.
|
1. 위치지령 펄스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는지 확인. 토크 모니터에서 출력토크가 포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 게인을 조정한다. Pr5E,Pr5F를 최대로 한다.엔코더의 결선을 배선도 대로 한다.
가감속 시간을 길게한다.
부하를 가볍게 하고, 속도를 내린다.
2.Pr70의 설정치를 크게 한다. 또는 0으로 한다(무효)
|
하이브리드
편차 과대
보호
|
25
|
풀클로즈 제어시에, 외부 스케일에 의한 부하의 위치와 엔코더에 의한 모터의 위치가, Pr7B에 설정된 펄스수 이상 벗어났다.
|
모터와 부하의 접속을 확인한다.
외부 스케일과 앰프의 접속을 확인한다.
부하를 움직였을 시에, 모터위치의 변화와 부하위치의 변화가 같은 부호인 것을 확읺나다.
외부스케일 분주분자,분모 외부 스케일 방향 반전이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
과속도
보호
|
26
|
모터의 회전속도가 Pr73의 설정치를 넘었다.
|
과대한 속도 지령을 주지 않는다.
지령 펄스의 입력 주파수 및 분주 체배비를 확인
게인 조정 불량에 의한 OVER SHOOT가 생긴 경우, 게인조정을 실시한다.
엔코더선을 결선도 대로 배선한다.
Pr73을 0으로 한다.(모터의 최고회전수x1.2로 설정)
|
지령펄스
체배
이상보호
|
27
|
제1~제2지령 분주체배 분자 분모(Pr48~4B)에 설정되어 있는 분주 체배비가 적절하지 않다.
|
Pr48~4B의 설정치를 확인
분주 체배후의 지령 펄수 주파수가 편차 카운터 입력부에서 80Mpps, 지령 입력부에서 3Mpps 이하가 되도록 분주 체배비를 설정한다.
|
외부 스케일
통신 데이터
이상보호
|
28
|
외부 스케일로부터의 데이터가 통신 이상이 되었다.
주로 노이즈에 의한 데이터의 이상.
외부 스케일 접속 케이블은 연결되어 있지만 통신 데이터가 이상.
|
외부 스케일의 전원전압을 확보한다. 특히 외부 스케일 접속 케이블이 긴 경우에 주의해 주십시오.
모터선과 외부 스케일 접속 케이블이 함께 결속되어 있다면 분리한다.
실드를 FG에 접속한다. 외부스케일의 접속도를 참조.
|
편차 카운터
오버플로우
(OVERFLOW)
보호
|
29
|
편차 카운터의 값이 2^27(134217728)을 넘었다.
|
위치 지령 펄스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는지 확인.
토크 모니터에서 출력토크가 포화되지 않는 것을 확읺나다.
게인을 조정한다.
Pr5E (제1토크 리밋 설정) Pr5F(제2 토크 리밋 설정)를 최대로 한다.
엔코더의 결선을 배선도 대로 한다.
|
소프트웨어
리밋 보호
|
34
|
모터의 위치가 소프트웨어 리밋의 범위를 넘었다.
1.게인이 맞지 않는다.
2.Pr26 의 값이 작다.
|
1.게인 관성비를 확읺나다.
2.Pr26의 설정치를 크게 한다.
|
외부스케일
통신
이상보호
|
35
|
외부 스케일과 앰프의 통신이 일정 회수 끊어지고, 단선 검출 기능이 동작했다.
|
외부 스케일의 결선을 접속대로 배선한다.
커넥터 핀의 잘못된 접속을 고친다.
|
EEPROM
파라미터
이상보호
|
36
|
전원 투입시 EEPROM으로 부터 데이터 판독시 파라미터 보존지역의 데이터가 망가져 있다.
|
모든 파라미터를 재설정한다.
몇번이나 반복 발생하면, 고장 가능성이 있으므로, 앰프를 교환한다.
|
EEPROM
CHECK CODE
이상보호
|
37
|
전원 투입시 EEPROM으로부터 데이터 판독시, EEPROM 기입 확인 데이터가 망가져 있다.
|
고장 가능성이 있으므로, 앰프를 교환한다.
구입처에 조사 반환한다.
|
구동금지
입력 보호
|
38
|
Pr04(구동 금지입력 설정)=0의 경우에 CW/CCW구동 금지 입력(CWL 8핀/CCWL 9핀)이 모두 COM-와의 접속이 오픈되었다.
또는 Pr04=2의 경우 CW/CCW 구동금지 입력중 어느 것이 COM-와의 접속이 오픈 되었다.
|
CW/CCW 구동 금지 입력에 접속된 스위치, 전선, 전원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 특히, 제어용 신호 전원의 기동이 늦지 않는지 확인
|